내 세상 뜰 때
우선 두 손과 두 발, 그리고 입을
가지고 가리.
어둑해진 눈도 소중히 거풀 덮어
지니고 가리.
허나 가을의 어깨를 부축하고
때늦게 오는 저 밤비 소리에
기울이고 있는 귀는 두고 가리.
소리만 듣고도 비 맞는 가을 나무의
이름을 알아맞히는
귀 그냥 두고 가리.
올해 가을은 더딘가 보다. 우리는 어느 때보다 가을에 목마르다. 끈질긴 더위도 더위지만, 자연의 섭리라도 좀 자연스럽게 흘러가주면 사는 게 덜 퍽퍽하겠다.
벌써 마음만은 가을인 분들이 가을 대비 시집 한 권 읽겠다면 황동규의 ‘풍장’을 권하고 싶다. 비울 것 비우고, 채울 것 채우기에 좋은 시집이다. ‘풍장’이라고 하면 대개 하나의 시를 떠올리지만, ‘내 세상 뜨면 풍장시켜 다오’로 시작하는 그 시는 ‘풍장’의 1편이다. 그것 말고도 ‘풍장’은 69편이 더 있다. 그중에서도 나는 27번째 ‘풍장’을 가장 좋아한다. 가을을 기다리는 사람에게 딱 어울리는 작품이기도 하다.
이 시의 주제는 ‘죽은 나’이다. 말투는 참 차분한데, 곰곰이 생각해 보면 주제가 섬뜩하다. 죽음은 알 수 없고 두렵기 때문에 우리는 죽음 이야기를 금기시하는 경향이 있다. 자신의 죽음이란 더욱 말하기 어려운 주제다. 그런데 이 시인은 죽음에 대해 매우 구체적인 계획을 갖고 있다. 심지어 죽은 자신을 상상하면서 조목조목 희망사항을 나열하기도 한다. 이 점이 신선하면서도 여러 가지 생각을 하게 만든다.
시인은 죽음을 통해 삶을 말하고 싶어 한다. 바라는 죽음의 조건들을 통해 바라는 삶의 덕목들을 드러내고 싶어 한다. 아마 시인은 평생, 가을비를 사랑했던가 보다. 가을비가 내리는 정취와 소리를 사랑했고, 그 가을비를 맞는 나무들은 더 사랑했던가 보다. 그래서 시가 전하는 죽음의 조건은 무섭기보다 아름답다. 해석한다면 대략 이런 전언이다. 가을이 오면 맘껏 사랑하기. 가을을 사랑하고 가을을 사랑하는 나와 나의 귀를 사랑하기. 이것이야말로 우리가 가을을 준비하는, 혹은 기다리는 마음가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