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늘 끝 아득히 이별한 사이일지라도 서로 공유할 수 있다는 푸근한 연대감 때문에 달은 멀고도 가깝다. 우리 모두는 한낱 구경꾼의 시선으로 달을 바라보기 일쑤지만, 때로 그것은 아주 잊고 살았던 기억 저편의 인연들을 소환해 주기에 결코 무연(無緣) 무심한 광물체로만 머물지 않는다. 누군가에게는 그리움이자 설렘이고 누군가에게는 사무치는 안타까움이기에 달은 다정하고 또 야속하다. 하여 소동파도 인생살이의 슬픔과 기쁨, 이별과 만남을 흐리거나 맑거나 이지러지거나 차는 달의 변화에 빗대기도 했다.
임을 향한 그리움에 잠 못 이루는 시인, 촛불을 끄자 휘영청 더 밝아진 달빛에 뒤척이고 급기야 주섬주섬 옷을 걸치고 정원을 어슬렁거리다 촉촉이 이슬에 젖는다. 침실에서 정원으로, 다시 침실로 향할 시인의 동선(動線)을 따라 가노라면 달빛처럼 우리네 마음도 덩달아 출렁인다. 두 손에나마 달빛을 듬뿍 담아 보내고픈 정인(情人)이 아내, 부모형제, 오랜 친구 그 누구일지라도 ‘꿈길밖에 길이 없다’는 시인의 절절한 마음은 기어이 닿고 말리라.
강직한 성품으로 직언을 서슴지 않아 때로 권력자의 눈 밖에 나기도 했지만 역사는 장구령을 명재상으로 기록하고 있다. 조정 대신들이 누군가를 관직에 천거할 때마다 당 현종(玄宗)은 “그 인물의 지조, 품성, 도량이 장구령에 비길 만한가”라고 되물었다는 일화에서 그의 됨됨이를 엿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