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밀리오 꾸에또, 가버려따, 2002, 유화, 84x60 인치 (예술가 및 Los Angeles, Newspace 예술관 협찬)
Emilio Cueto, Gone, 2002, oil on canvas, 84 by 60 inches (courtesy of the artist and Newspace Gallery, Los Angeles).
예술가와 작가들에게 백인성을 들추면서 더욱 더 복잡해지는 것은 “백인” 이라는 것이 얼마나 많은 것들을 의미하는지, 인종이 아닌 것 처럼 보여주는 때 가 많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에밀리오 꾸에또의 날카롭고 거의 전체가 백색인 “가버려따” (2002)는 여러 겹의 의미를 괘뚫는다. 물론 인종에 대한 이야기도 되지만, Piet Mondrian 같은 이들의 작품과도 일맥상통한다. Mondrian은 백색을 다른 전제 하에 사용하곤 그의 작품에 대한 [다른 이들의] 읽기는 거의 인종에 대한 언급이 없기 때문이다. 꾸에또의 작품은 우리들에게 인종으로서의 백인성과 그 밖의 공백성, 부드러움, 비어있음, 차가움, 죽음, 순수, 자아 발견등등의 백인과 관련된 것들과의 연결점에 대해 생각하게 하고, 그런 연결의 방향에 대해 고개를 갸웃거리게 한다. 헤르만 멜빌[Herman Melville]이 이미 백오십년 전에 제시한 모비 딕의 소설 속의 “고래의 백인성”, 그리고 “하녀들의 타르타러스 강” [The Tartarus of the Maids] 에 나오는, 차갑고도 천천히 죽어하는 공장 여자 노동자들의 백인성 – 꾸에또는 색상을 인종을 초월하는 기표로 사용하면서도 그 인종적 의미를 무시하지도 않는다.
우리의 목적에 가장 부합하는 질문은 아마 “가버려따” (제목 좀 보시라!) 가 묻는, 캔버스가 항상 백인적인 공간인가, 그리고 그것이 자신을 아니라고 선언했을때만 결국, 그리고 혹시는 그러한 후에도 항상 백인적인 공간인지 물음일 것이다. 순수히 물리만을 생각한 것이 아닌 사회 관계를 고려 했을 경우, 캔버스라는 것이 다양한 색상과 그림들을 취한 후에도 밑바닥은 백인적인 것인가? 할리우드의 회색 스크린 처럼, 끝끝내는 흰색이 되는 것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