畵 : 그림 화, 龍 : 용 룡, 點 : 점찍을 점, 睛 : 눈동자 정
풀이
용을 그리며 눈동자도 그린다는 뜻으로, 끝손질로 사물의 가장 중요한 핵심을 완성했을 때 쓰는 말이다. 또한 사소한 첨가로 전체가 돋보일 때의 감탄을 말한다.
유래
장승요(張僧繇)는 남북조 시대 양(梁)나라 인물인데, 우장군(右將軍)에다 오흥(吳興) 태수를 지냈으니 관직 생활도 성공적으로 했다고 할 수 있겠지만, 그보다 화가로 더 유명했다. 한번은 남경(南京)에 있는 안락사(安樂寺) 주지로부터 용의 벽화를 그려 달라는 부탁을 받고 절에 가서 그림을 그리게 되었다.
이윽고 그림이 완성되어 절간 사람들한테 공개되었을 때, 모두들 벌어진 입을 다물지 못했다. 암수 두 마리의 용이 서로 싸우듯 장난하듯 얽혀 있는 모습은 극사실주의 화풍이었는데, 구름을 헤치고 금방이라도 날아오를 것처럼 꿈틀거리는 몸뚱이와 번쩍이는 비늘, 여의주를 움켜쥐고 있는 억센 발톱 등 참으로 대단한 걸작이었기 때문이다. 모두 감탄을 금치 못하여 칭찬하는 가운데, 주지승은 문득 용들의 눈동자가 없다는 사실을 알아차렸다.
“아니, 왜 눈동자는 빼 놓았습니까?”
주지승이 묻자, 장승요가 대답했다.
“왜냐하면, 눈동자를 그려 넣으면 용이 당장 벽에서 튀어나와 하늘로 날아오르게 될 테니까요.”
그 말을 들은 사람들은 픽 웃었다. 아무리 잘 그렸다 하더라도 그것은 지나치게 오만한 자기 자랑이라고 여겨졌기 때문이다. 그 점은 주지승도 마찬가지여서, 그는 ‘용의 눈을 그려 넣어 그림을 완성해’ 달라고 요구했다.
“굳이 그렇게 요청하신다면 해 드리겠으나, 그 다음 일은 책임지지 않겠습니다. 그래도 좋습니까?”
“물론입니다.”
다짐을 받고 난 장승요는 붓을 들고 물감을 찍어 용 한 마리의 눈에 눈동자를 그려 넣었다. 바로 그 순간, 갑자기 하늘이 캄캄해지면서 번개가 치고 천둥이 울렸다. 그와 동시에 벽화 속의 눈이 그려진 용이 꿈틀거리면서 벽을 깨뜨리고 튀어나와 그대로 하늘로 올라가 버리는 것이었다. 그러나 눈동자가 그려지지 않은 용은 그대로였다.
英语
日语
法语
德语
西班牙语
意大利语
阿拉伯语
葡萄牙语
越南语
俄语
芬兰语
泰语
丹麦语
对外汉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