涸 : 마를 학, 轍 : 바퀴자국 철, 駙 : 붕어 부, 魚 : 물고기 어
풀이
수레바퀴 자국에 괸 물 속의 붕어라는 뜻으로, 매우 위급하거나 옹색한 형편을 말한다.
유래
전국 시대 도가(道家) 계열의 자연주의 사상가인 장자(莊子)는 누구한테도 구속받지 않고 자유롭게 살아가는 생활을 즐겼다. 그러다 보니 농사도 없고 다른 벌이도 없어 굶기를 밥 먹듯이 했다.
‘어쨌든 목구멍에 풀칠은 해야지.’
이렇게 생각한 장자는 감하후(監河侯)를 찾아갔다.
“돈이 생기는 대로 갚을 테니까 얼마간 융통해 주십시오.”
장자가 이렇게 부탁하자, 감하후는 빌려 주더라도 어차피 돌려받기 어렵다 생각하고 이렇게 핑계를 대었다.
“지금은 없네. 하지만 사나흘 후면 식읍(食邑)에서 세금이 올라오니까 그 땐 300금 정도 빌려 줄 수 있을 테니 기다리게나.”
그 말을 듣고 상대방의 생각을 알아차린 장자는 속이 뒤틀려서 퉁명스럽게 받았다.
“말만 들어도 고맙군요. 하지만 그 땐 소용이 없습니다.”
그리고는 이런 멋들어진 비유를 들어 은근히 꾸짖었다.
“아까 제가 이리로 오고 있는데, 누가 소리쳐 부르지 뭡니까. 그래서 돌아봤더니, ‘수레바퀴 자국에 고여 있는 물에 붕어 한 마리가 있더군요[涸轍駙魚(후철부어)].’ 그래서 왜 불렀느냐고 물었더니, 말라 죽게 되었으니 물을 좀 떠다 달라는 겁니다. 저는 귀찮은 생각이 들어 이렇게 말했지요. ‘내가 사나흘 후면 오(吳)나라로 유세를 떠나는데, 그대에게 서강(西江)의 물을 철철 넘치게 길어다 줄 테니 기다리게.’ 그러자 붕어는 화를 버럭 내며 ‘나는 지금 몇 잔의 물만 있으면 살 수 있는데 당신은 기다리라고 하니 이젠 틀렸군요. 나중에 건어물전에나 와서 죽은 나를 찾으시구려.’ 하고는 눈을 감지 않겠습니까. 자, 그럼 이만 실례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