折 : 부러뜨릴 절, 檻 : 난간 함
풀이
난간을 부러뜨린다는 뜻으로, 성심성의로 간언하는 것을 말한다.
유래
장우(張禹)는 한(漢)나라 성제(成帝) 때 정승으로 있었던 인물이다. 성제는 그를 절대적으로 신임할 뿐 아니라 스승으로 존경했다. 그렇기 때문에 장우의 위세는 하늘을 찌를 듯했고, 비위 사실이 적지 않았지만 아무도 나서서 그의 잘못을 지적하는 사람이 없었다. 그러다 보니 장우는 점점 안하무인이 되어 모든 사람들을 마음 졸이게 만들었다. 이때 목숨을 걸고라도 황제에게 직언을 해야겠다고 벼르는 사람이 있었다. 유학자인 주운(朱雲)이었다.
‘저런 간신배의 횡포를 그대로 보고만 있다가는 무슨 일이 있을지 모르겠다. 이제라도 막아야 한다.’
이렇게 생각하며 기회를 노리던 주운은 어느 날 여러 대신들이 있는 자리에서 황제 앞에 나가 폭탄 선언을 했다.
“폐하, 지금 조정 대신들은 폐하의 성총(聖聰)을 흐리게 할 뿐 아니라, 백성들이 피땀 흘려 바친 세금으로 녹만 챙기고 아무 하는 일도 없는 도둑의 무리입니다. 부디 신에게 칼 한 자루를 내려 주십시오. 그 대표적인 간신배 한 사람의 목을 베어 본보기를 만들까 합니다.”
주위에 있던 대신들은 하나같이 가슴이 철렁했다. 너무나 엄청난 소리였기 때문이다. 성제 역시 자기 귀를 의심할 지경이었다. 눈이 휘둥그레진 그는 주운에게 물었다.
“대표적인 간신배라니, 그게 대체 누구인가?”
“안창후(安昌侯)입니다.”
안창후는 장우의 작호였다. 자기가 스승으로 섬기는 사람을 간신배로 끌어내리는 것을 보고 성제는 몹시 화가 났다. 자기를 싸잡아 욕하는 소리나 다름없었기 때문이다.
“현임 정승을 그따위 언사로 폄하하다니! 저 자를 당장 끌어내라!”
성제의 호통에 따라 무관들이 주운을 끌어내려고 우르르 달려들었다. 그러나 주운은 끌려 나가지 않으려고 전각 난간에 결사적으로 매달렸다. 그러면서 장우의 목을 베어야 한다는 소리만 계속했다. 그렇게 옥신각신하다 보니 그만 난간이 뚝 부러지고 말았다. 나중에 손상된 난간을 완전 교체하려고 하자, 성제는 이렇게 말했다.
“새 것으로 몽땅 갈지 말고 부서진 것을 그대로 붙여 놓도록 하라. 직간한 신하가 보여 준 충성의 표징으로 아끼고 싶구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