噬 : 씹을 서, 臍 : 배꼽 제, 莫 : 아닐 막, 及 : 미칠 급
풀이
배꼽을 물려고 해도 입이 닿지 않는다는 뜻으로, 기회를 놓치면 후회해도 소용이 없다는 의미다.
유래
춘추 시대 초(楚)나라 문왕(文王)은 신(申)나라를 치기 위해 병사들을 거느리고 서울을 출발하여 북행길에 올랐다. 그런데, 그들이 신나라로 가기 위해서는 등(鄧)나라를 거치지 않으면 안 되었으므로, 문왕은 먼저 사신을 등나라에 보내어 통과를 양해해 달라고 요청했다. 이때 등나라 왕은 무골호인으로 알려진 기후(祁侯)였고, 문왕과는 아저씨 조카 사이였다.
“그야 우리가 초나라와 티격태격할 이유가 없을 뿐더러 이 문제는 어디까지나 초나라와 신나라 간의 일이니 좋도록 하게. 더군다나 조카가 아저씨네 마당을 지나가려고 하는데 안 될 게 뭐 있겠는가.”
기후는 이렇게 순순히 허락했다. 이윽고 문왕과 그의 군대가 등나라 도성에 이르자, 기후는 반갑게 맞아들였다.
“어서 오게나. 이게 얼마만인가?”
“아저씨께서 어려운 결정으로 편의를 보아 주셔서 이 조카는 무엇으로 감사를 드려야 할지 모르겠습니다.”
문왕이 짐짓 깍듯하게 집안 어른 대접으로 심심한 감사를 표하자, 기후는 기뻐하며 말했다.
“거 무슨 말을! 조카의 부탁인데 그보다 더한 것인들 내 못 들어 주랴.”
그리고는 성대한 잔치를 베풀어 문왕과 그 병사들을 배불리 먹였다. 이때, 추생(騅甥), 담생(聃甥), 양생(養甥)이라고 하는 세 사람의 현자(賢者)가 기후를 찾아와서 간곡히 말했다.
“아뢰옵기 황공하오나, 저희들이 보건대 저 문왕은 머잖은 장래에 반드시 전하에게 칼끝을 겨누고 달려들 것입니다.”
추생의 간언에 이어 담생도 말했다.
“그렇습니다. 지금 손을 쓰지 않으시면 훗날 크게 후회하시게 될 것입니다. ‘배꼽을 물려고 해도 입이 닿지 않는데’ 그 땐 어쩌겠습니까.”
기후는 어림 없는 소리라고 일축했다.
“이런 망발이 어디 있담. 초왕과 나는 아재비 조카의 관계인데 어찌하여 그런 일이 일어날 수 있단 말인가? 과인이 만일 조카를 해친다면 과인이 먹다 남긴 음식은 그대로 남을걸세.”
이 말은 사람들이 자기의 불의를 미워하여 제사도 지내 주지 않을 것이라는 뜻이었다. 그러자, 이번에는 양생이 부르짖었다.
“참으로 딱하십니다. 저희들의 간언을 귀담아 듣지 않으시면 사직(社稷)이 남아 나지 못할 것이 뻔한데, 전하께서 잡수시고 남길 음식이 어디 있단 말씀입니까?”
그러나 기후는 끝내 충신의 간언을 받아들이지 않았다. 그로부터 꼭 십 년 후에 문왕은 부대를 이끌고 갑자기 등나라를 침공했고, 얄팍한 인정을 과신하여 아무런 대비도 하지 않고 있던 등나라는 단번에 멸망하고 말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