貧 : 가난할 빈, 者 : 놈 자, 一 : 하나 일, 燈 : 등불 등
풀이
가난뱅이의 등불 하나라는 뜻으로, 가난하면서도 정성을 다해 공양하는 태도를 말한다.
유래
사위국(舍衛國)에 난타(難陀)라는 가난한 여자가 있었는데, 어느 날 그녀의 마을 근처에 석가모니(釋迦牟尼)가 찾아왔다. 그 소문이 널리 퍼지자 사람들이 너도나도 석가모니를 찾아가서 공양을 바쳤는데, 난타는 구걸하여 연명하는 궁색한 형편이어서 남들처럼 어엿하게 석가모니를 찾아갈 수 없었다. 그녀는 어떻게든 석가모니를 만나 볼 욕심으로 저잣거리에 나가 구걸을 하기 시작했다. 단 몇 푼이라도 돈이 생기면 기름을 사 가지고 찾아갈 요량이었다. 그러나 하루 종일 구걸하여 저녁 무렵에 이르렀건만 그녀의 손에 쥐어진 것은 겨우 한 푼이었다.
‘아아, 어떡하지? 이걸로는 기름을 살 수 없을 텐데.’
그녀는 낙심천만이었지만, 어쨌든 사정이나마 해 볼 요량으로 기름장수를 찾아갔다. 아니나 다를까, 기름 장수는 코웃음쳤다.
“아니, 이봐요. 그까짓 한 푼으로 어떻게 기름을 사겠다는 거요? 그렇게는 팔 수가 없소.”
그러나, 난타가 눈물로 호소하는 바람에 기름 장수도 마침내 측은한 생각이 들어 돈하고 상관없이 제법 많은 양의 기름을 그녀에게 주었다. 절을 백 번도 더하여 감사를 표한 그녀는 설레는 마음으로 등불을 밝혀 들고 석가모니를 찾아가, 다른 사람들이 갖다 놓은 등불들 사이에다 정성스레 놓았다. 그런데, 이상한 일이 벌어졌다. 하룻밤이 지나자 다른 사람들의 등불은 기름이 다하여 감에 따라 점점 꺼져 갔지만, 난타의 등불만은 시간이 지날수록 더욱 밝고 힘차게 타오르지 않는가. 결국 석가모니도 난타의 아름다운 정성을 알게 되었고, 몹시 감동한 그는 그녀를 비구니로 받아들여 제자로 삼았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