明 : 밝을 명, 鏡 : 거울 경, 止 : 그칠 지, 水 : 물 수
풀이
밝은 거울과 잔잔한 물이라는 뜻으로, 마음이 가장 고요하고 안정된 상태를 가리킨다.
유래
춘추 시대 노나라에 왕태(王駘)라는 선비가 있었다. 어쩌다 죄를 짓고 한쪽 발을 잘리는 형벌을 받았는데, 그런 전력과 불구에도 상관없이 그를 따르는 제자가 많아 공자의 제자 수와 맞먹을 정도였다. 그 점을 불만스럽게 여긴 공자의 제자 상계(常季)가 스승한테 말했다.
“선생님, 왕태라는 사람은 외발이 병신입니다. 그런데도 그를 따르는 제자가 놀라울 정도로 많습니다. 저는 그 까닭이 무엇일까 하고 관심 있게 지켜보았지만, 그는 서 있어도 가르치지 않고, 앉아 있어도 대화하는 법이 없었습니다. 그런데도 사람들은 빈 마음으로 그를 찾아갔다가 뭔가 가득 얻어 돌아온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왜 그럴까요?”
공자가 답했다.
“말을 삼가라. 그분은 성인이시다. 나도 장차 그분을 스승으로 모시려고 한다. 그러니 다른 사람들이야 말할 나위 있겠느냐.”
“그 정도로 덕이 높단 말씀입니까?”
“본래 ‘말없는 가르침’이란 게 있느니라. 겉으로 드러내지 않아도 속으로 완성된 마음의 소유자인 경우는 그것이 가능하다. 짐작컨대 그분은 타고난 지혜로 자신을 수양하고 그것을 변함없는 본심으로 가꾸어 왔을 성 싶다.”
“선생님 말씀대로라면 그것은 자신을 위해서 행한 수양이잖습니까? 그런데도 세상 사람들은 왜 그의 주변에 몰려갈까요?”
“간단한 이치다. 흐르는 물을 들여다보면 자기 얼굴을 볼 수 있겠느냐? ‘잔잔하게 가라앉은 물이라야만 들여다보아 자기 얼굴을 볼 수 있다.’ 그분에게 사람이 꾀는 이유는 바로 그것이니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