刮 : 비빌 괄, 目 : 눈 목
풀이
눈을 비비고 다시 본다. 즉, 남의 학식이나 기량이 놀랍도록 발전했을 때 일컫는 말이다.
유래
삼국 시대 오(吳)나라 손권(孫權)의 부하 중에 여몽(呂蒙)이란 장수가 있었다. 그는 전장에 나가기만 하면 혁혁한 전공을 올려 장군 반열에 올랐지만, 출신이 미천한 까닭에 무식한 것이 흠이었다. 이것을 딱하게 여긴 손권은 어느 날 여몽에게 충고했다.
“무인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물론 용력(勇力)이지만, 불학무식하면 한낱 힘센 필부(匹夫)에 지나지 않는 것이오. 장군의 그 무용(武勇)에 학식이 더하면 금상첨화가 아니겠소?”
이 말을 들은 여몽은 몹시 부끄러웠다. 그는 굳은 결심 아래 그 날부터 책을 들고 열심히 공부하기 시작했고, 심지어 전장에 나가서도 틈만 나면 책을 펼치곤 했다. 그러니 학문의 진도가 놀랍도록 빠를 수밖에.
어느 날, 재상인 노숙(魯肅)이 멀리 전장에 나가 있는 여몽을 찾아왔다. 두 사람은 오랜만에 반갑게 만나 이런저런 정치적인 이야기를 나누었는데, 노숙은 여몽이 전에 없이 박식한 논리를 펼치는 것을 보고 눈이 둥그레지고 말았다.
“아니, 언제 그렇게 많은 공부를 했소? 오나라에 있을 때의 여 장군이 아니구려.”
여몽이 빙그레 웃으며 대답했다.
“모름지기 선비는 헤어진 지 사흘이 지나 다시 만났을 땐 ‘상대방이 눈을 비빌[括目(괄목)]’ 정도로 달라져야 하는 법 아니겠소.”
이처럼 학문을 쌓은 여몽은 노숙이 병으로 죽은 뒤 중심적 위치에서 손권을 보필했으며, 나중에 당대 최고 명장으로 알려진 유명한 촉(燭)나라의 관우(關羽)를 잡아 죽임으로써 삼국의 세력 판도가 크게 바뀌는 계기를 만들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