曲 : 굽을 곡, 學 : 배울 학, 阿 : 아첨할 아, 世 : 인간 세
풀이
학문을 굽혀 세상 사람들에게 아첨한다는 뜻이니, 결국 어용학자의 그릇된 처세를 비꼬는 말이다.
유래
한나라 경제(景帝)는 보위에 오르자 정치를 잘 해 볼 의욕으로 천하의 어진 선비들을 불러 모았다. 그중의 한 사람으로 산동(山東) 출신 원고생(轅固生)은 나이가 아흔이나 되는 고령이었으나, 성품이 꼿꼿하고 바른 말 잘하기로 유명한 선비였다. 그런 성향을 잘 아는 대신들과 학자들은 그가 조정에 들어오면 자기들의 처신이 자유스럽지 못하리라 염려하여 이런저런 구실로 등용을 극력 반대하는 상소를 올렸다. 그렇지만 경제는 개의치 않고 원고생을 도성으로 불러들였다.
아닌게 아니라, 원고생은 잘못이 있는 사람은 지위고하를 막론하고 지적하여 나무랄 뿐만 아니라 황제 앞에서도 바른 소리를 곧잘하여 주위를 조마조마하게 만들었다. 같은 산동 출신으로 함께 등용된 젊은 학자로 공손홍(公孫弘)이란 자가 있었는데, 공손홍은 원고생을 깔보고 무시했다.
‘원, 늙은이가 분수도 모르고……. 저 잘난 것만 알아 야단이로군.’
원고생도 공손홍이 자기를 어떻게 생각하는지를 잘 알고 있었다. 그래서 어느 날은 일부러 공손홍을 불러 세워 간곡히 충고했다.
“요즘 들어 학문이 정도(正道)를 잃고 속설(俗說)로만 흐르고 있으니 실로 걱정스럽네. 이런 유행이 계속된다면 학문의 전통이 어디 올바르게 후대에 전해지겠는가. 다행히도 자네는 젊을 뿐 아니라 학문을 남달리 좋아하는 사람인 줄 알고 있네. 그러니 부디 바른 학문을 제대로 열심히 익혀 세상에 널리 전하도록 하게나. 결코 ‘바른 학문을 굽혀[曲學(곡학)] 세상 속물들에게 아첨[阿世(아세)]하는 일’이 있어서는 안 될 것이야.”
그 말을 들은 공손홍은 자기가 그동안 얼마나 잘못했는지를 뼈저리게 깨달았다. 얼굴이 빨개진 공손홍은 당장 무릎을 꿇고 사죄하며, 제자로 거두어 달라고 간청했다.